생명을 구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인 저체온증 요법 알아보기

의학의 발전으로 우리는 때로 위험해 보이는 상황을 오히려 치료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저체온증 요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저체온증은 위험한 상태로 여겨지지만, 의료진들은 이를 역으로 이용해 생명을 구하는 놀라운 치료법을 개발했습니다. 

 저체온증이란?
저체온증 요법은 심정지 후 순환이 회복되었지만 의식이 돌아오지 않은 혼수 상태 환자의 체온을 32~35도로 낮추어 일정 기간 유지함으로써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치료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심장마비 후 생존한 환자들의 신경학적 예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저체온증 요법의 원리
저체온증 요법의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 뇌 손상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생성과 분비를 억제
2. 뇌의 미세혈류 개선
3.뇌압 감소
4. 세포 대사율 감소로 인한 산소 요구량 감소
5. 이차적인 뇌신경 손상 예방

저체온증 요법의 과정
저체온증 요법은 크게 세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유도기 : 환자의 체온을 빠르게 32~35도로 낮춥니다. 이를 위해 특수 냉각 매트, 차가운 수액 주입, 얼음 주머니 등을 사용합니다. 
2. 유지기 : 목표 체온에 도달한 후 12~24시간 동안 저체온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 기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합니다. 
3. 재가온기 : 체온을 서서히 정상을 되돌립니다. 보통 시간당0.2~0.5도의 속도로 체을 올립니다. 

저체온증 요법의 효과
울산대병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체온증 요법을 받은 심정지 후 뇌손상 환자 29명중 17명이 장애없이 퇴원하여 58.6%의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저체온증 요법이 심각한 뇌손상을 예방하고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저체온증 요법은 심정지 후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이치료법이 모든환자에게 적합한것이 아니며, 전문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하빈다. 
또한, 저체온증 요법의 성공을 위해서는 심정지 발생시 신속한 심폐 소생술과 빠른 의료진 연락이 필수적입니다. 
모든 응급상황에 대한 기본적인 대처 방법을 알게된다면, 더 많은 생명을 구할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음 이전